맨위로가기

UEFI 포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EFI 포럼은 UEFI 규격, ACPI 규격 등 다양한 규격을 발표하고 관리하는 단체이다. 2023년 기준으로 UEFI 규격 버전 2.8, UEFI 셸 규격 버전 2.2, UEFI 플랫폼 초기화 규격 버전 1.7, UEFI 플랫폼 초기화 배포 패키징 규격 버전 1.1, ACPI 규격 버전 6.4 등이 주요 규격으로 포함된다. AMD, 아메리칸 메가트렌드, 애플, 델, HP, IBM, Insyde Software, 인텔, 레노버, 마이크로소프트, 피닉스 테크놀로지스 등이 주간사 기업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구 PC BIOS를 UEFI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 컨소시엄 - 오픈 네트워킹 재단
    오픈 네트워킹 재단은 통신 산업 혁신을 위해 SDN, NFV, 클라우드 기술 등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인프라 개선 및 개방형 표준 추진을 지원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 기술 컨소시엄 -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OHA)는 구글을 중심으로 2007년 11월에 결성된 컨소시엄으로, 34개의 기업이 참여하여 안드로이드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 및 발전시키고 개방형 표준 설계를 통해 혁신적인 모바일 기기 및 서비스 개발을 목표로 한다.
  • 바이오스 - 아메리칸 메가트렌즈
    아메리칸 메가트렌즈(AMI)는 1985년에 설립된 회사로, BIOS 펌웨어, 서버용 마더보드, 스토리지 컨트롤러 등을 공급하며, 현재는 AMIBIOS, Aptio, AMIDiag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 바이오스 - 부트 섹터
    부트 섹터는 시스템 부팅 코드를 담은 저장 매체의 특정 영역으로, 볼륨 부트 레코드(VBR)와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로 나뉘며, BIOS는 이를 실행하고 UEFI는 부트로더를 직접 로드하지만 바이러스 공격에 취약하다.
UEFI 포럼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포럼 (통합 확장 가능 펌웨어 인터페이스 포럼)
유형협력적인 산업 조직
설립2005년
위치미국 오리건주 비버턴
주요 인물Mark Doran
Dong Wei
Michael Rothman
Vincent Zimmer
산업펌웨어
제품사양
웹사이트www.uefi.org

2. 규격

UEFI 포럼은 플랫폼 펌웨어와 운영 체제 사이의 부트로더 및 런타임 인터페이스인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UEFI) 규격의 관리와 홍보를 담당하는 비영리 법인이다. 이 조직의 주요 목표는 기존의 PC BIOS를 UEFI로 대체하는 것이다. UEFI 포럼은 UEFI 규격 외에도 펌웨어 내부 아키텍처와 펌웨어-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UEFI 플랫폼 초기화(PI) 규격, 그리고 시스템 구성 및 전원 관리 등을 다루는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ACPI) 규격 등을 관리하고 있다.[1] 포럼은 이러한 규격들의 개발과 함께, 규격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체 인증 테스트 제품군(Self-Certification Test suites)도 제공한다.

2. 1. 주요 규격

UEFI 포럼은 여러 주요 기술 규격을 관리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규격들은 다음과 같다.

  • '''UEFI 규격''': 플랫폼 펌웨어와 운영 체제 사이의 부트로더 및 런타임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이는 기존의 PC BIOS를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인텔에서 처음 개발한 EFI 규격을 기반으로 한다.
  • '''UEFI 플랫폼 초기화(PI) 규격''': 펌웨어 내부 아키텍처와 펌웨어-하드웨어 간 인터페이스를 다룬다.
  • '''ACPI 규격''': 운영 체제와 시스템 펌웨어 간의 주요 런타임 인터페이스로, 부팅 시 정적 테이블과 시스템 구성, 전원 관리, RAS(신뢰성, 가용성, 지원성) 기능을 위한 동적 제어 방식을 제공한다. ACPI 자산은 2013년 10월 UEFI 포럼으로 이전되었다.[1]
  • '''UEFI 셸 규격''': UEFI 환경에서 사용되는 명령줄 인터페이스인 셸 환경을 정의한다.


또한, 포럼은 자체적으로 정의한 규격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자가 인증 테스트 제품군(Self-Certification Test suites)도 관리한다.

아래는 포럼에서 발표한 주요 규격의 버전 정보이다.

  • ''UEFI 규격 버전 2.8'' (2019년 3월 발행)
  • ''UEFI 셸 규격 버전 2.2'' (2016년 1월 26일 발행)
  • ''UEFI 플랫폼 초기화 규격 버전 1.7'' (2019년 1월 발행)
  • ''UEFI 플랫폼 초기화 배포 패키징 규격 버전 1.1'' (2016년 1월 발행)
  • ''ACPI 규격 버전 6.4'' (2021년 1월 발행)[2]

2. 2. 최신 규격 (2023년 기준)

wikitext

규격 명칭최신 버전발행일
UEFI 규격2.82019년 3월
UEFI 셸 규격2.22016년 1월 26일
UEFI 플랫폼 초기화 규격1.72019년 1월
UEFI 플랫폼 초기화 배포 패키징 규격1.12016년 1월
ACPI 규격6.42021년 1월


2. 3. 구 규격


  • UEFI 플랫폼 초기화 사양(Platform Initialization Specification) 버전 1.0, 1.1
  • UEFI 사양(Specification) 버전 2.0, 2.1, 2.2
  • ACPI 사양(Specification)
  • UEFI 셸 사양(Shell Specification)

3. 구성

UEFI 포럼은 비영리 법인으로, 플랫폼 펌웨어와 운영 체제 간의 부트로더 및 런타임 인터페이스인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UEFI) 사양의 관리 및 홍보를 책임진다. UEFI는 원래 인텔에서 개발한 EFI 사양을 기반으로 하며, 노후화된 PC BIOS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럼은 UEFI 사양 외에도 펌웨어 내부 아키텍처와 펌웨어-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다루는 UEFI 플랫폼 초기화(PI) 사양과, 자체 정의 사양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자가 인증 테스트 제품군도 관리한다.

2013년 10월에는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ACPI) 자산도 포럼으로 이전되었다.[1] 이에 따라 포럼은 부팅 시 정적 테이블과 시스템 구성, 전원 관리 및 RAS(신뢰성, 가용성, 지원성) 기능을 위해 운영 체제와 시스템 펌웨어 간의 주요 런타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ACPI 사양의 관리 및 홍보도 담당한다. ACPI "Revision 5.0"[2]은 향후 ACPI 버전 개발의 출발점으로 사용될 것이다.

3. 1. 주간사 기업

UEFI 포럼은 11개의 주간사 기업(Promoters)과 18개의 협력 기업(Contributors), 124개의 찬동 기업(Adopters)으로 구성되어 있다.[3] 주간사 기업은 AMD(Advanced Micro Devices), 아메리칸 메가트렌드, 애플(Apple), 델, 휴렛 팩커드(HP), IBM, Insyde Software, 인텔(Intel), 레노버, 마이크로소프트, Phoenix Technologies|피닉스 테크놀로지스eng이며, 사무국 담당자의 소속으로 보아 인텔이 주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3]

참조

[1] 웹사이트 ACPI and UEFI forum join forces: here's why it matters http://www.fixedbyvo[...] fixedbyvonnie.com 2013-11-13
[2] 웹사이트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Specification (Revision 5.0) https://web.archive.[...] acpi.info 2011-12-06
[3] 웹사이트 "UEFI Forum" Web内の企業リスト http://www.uefi.org/[...] 2010-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